美 정부 보조금 지급 신청 접수 시작
국내기업 겨냥 압박 한계···철수 검토
매출 비중 높아 무역수지 악화 등 부담
미국 정부가 반도체 생산 보조금 지급을 위한 신청 접수를 28일(현지시간)부터 시작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강자인 국내 대기업을 겨냥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미국에서 반도체 보조금을 받고 싶으면 중장기적으로 중국 시장을 포기하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압박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대기업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봉쇄로 위축된 상황에서도 중국 쪽 매출이 양사를 합쳐 50조원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반도체가 수출 첨병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 수출에 차질이 생기면 무역수지 악화 등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작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삼전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대기업이 중국 철수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지난해 하반기 첨단 반도체 장비에 대한 중국 수출 제한 조치에 이어 올해 상반기 반도체 중국 생산 제한 조치를 구체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규제 조치를 숨 가쁘게 밀어붙이면서 국내 반도체 대기업의 전략도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치·외교적 상황을 감안하면 조만간 중국에서 철수를 결정하는 편이 낫다는 진단이 적지 않다.
문제는 국내 반도체 기업에 중국 매출이 상당한 수준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시장에서 각각 매출 35조6258억원과 15조7302억원을 기록했다. 양사를 합치면 51조35560억원 수준으로 전체 매출액 합계 345조2292억원 대비 14.88%에 달하는 규모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이외에 중소형 반도체 기업 매출을 감안하면 이보다 의존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직 지난해 성과가 다 집계되지 않았으나 2021년 국내 기업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액은 502억 달러(약 66조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중국이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로 경기가 극도로 위축됐음을 감안하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시작되는 올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 합쳐도 55조원 이상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칩4 동맹 가입에 이어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반도체 규제 조치를 모두 받아들이게 된다면 중국 현지 반한 감정을 자극하게 될 수 있다. 2017년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를 채용한 한국에 한한령으로 대응했던 사례가 반도체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반복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렇게 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5조3382억원과 19조4844억원에 달하는 중국 내 비유동자산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최악에는 중국에 소재한 생산설비에 대한 안전성이 위협받아 다른 국가 매출도 줄어들 우려가 있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 출하량 중 40%를 중국 시안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고, 중국 쑤저우에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는 D램 50%를 중국 우시 공장에서, 낸드플래시 20%를 다롄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전부 현지에서 소비되지 않고 다른 지역에 대한 수출 물량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계 관계자는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해 하반기 중국 철수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고 IR에서 밝힌 바 있고 삼성전자도 유사한 전략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다만 50조원이 넘는 중국 내 매출과 34조원이 넘는 비유동자산을 단숨에 정리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