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넷째 쌍둥이 낳아 5000만원씩 1억원 지원
출산장려금, 효과는 있지만 주로 인구감소지역이 많아
인근 지자체 인구 뺏어오고, 효과 큰 수도권은 지원 적어
“지역 재정 여건 악화 가능성”
괴산군은 지난 4일 “문광면의 임완준·이애란씨 부부가 지난 1월 셋째, 넷째 쌍둥이 아들인 승한·수한군을 낳았다”며 “각각 5000만원씩 총 1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임씨 부부는 이번 출산으로 아들 네 명을 두게 됐다. 이들은 “아이를 좋아해 많이 낳고 싶었는데 현실적인 고민이 많았다”라며 “군이 많이 도와주어 감사하며 앞으로 아이들을 잘 키워가겠다”고 했다.
괴산군의 셋째 아이 이상 출산장려금은 지난해까지 2000만원이었으나, 올해 5000만원으로 대폭 올렸다. 출산육아수당 1000만원, ‘첫만남이용권’ 200만원이 포함된 금액으로, 임씨 부부가 첫 수혜자가 됐다. 괴산군은 출산장려금 외에도 올해 출생아부터 산후조리비 100만원과 월 8만원씩 기저귀 비용을 지원한다.
괴산군처럼 지자체들은 출산장려금 등 현금성 지원 정책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육아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226개 기초 지자체(시·군·구) 중 202곳(89.4%)에서 금액의 차이는 있지만 출산을 한 부모에게 지원금을 주고 있다.
괴산군이 셋째 아이 이상 출산지원금을 대폭 상향한 것처럼 지자체 전체 예산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지자체의 출산지원정책 예산은 1조809억원으로, 2021년(8522억원)보다 26.8% 증가했다. 결혼 전과 결혼, 임신 전과 임신, 출산, 육아 등 각 단계별로 출산을 돕는 정책 예산을 모두 더한 수치다. 출산지원정책 예산 중 현금성 지원이 7496만원(69.4%)로 가장 많다. 또 현금성 지원 중에서도 출산 후 일정기간 현금을 지원하는 ‘출산지원금’이 76.5%로 가장 많았다.
중앙정부가 아닌 지자체 예산은 광역 지자체(시·도) 3614억원, 시·군·구 2121억원등 총 5735억원이 투입됐다. 출산지원금은 지역간 격차가 크다. 17개 시·도 중 서울·경기·충북·전북·전남·경남을 제외한 11곳이 출산지원금을 지원했다. 지원하는 지자체 중 경북은 출생아 1명에 대해 출산축하쿠폰 10만원을 일시금으로 지급했다. 강원은 생후 48개월까지 매달 50만원씩 총 2400만원을 지원했다.
시·군·구도 편차가 크다. 전남 영광군은 2021년 기준으로 첫째 500만원, 둘째 1200만원, 셋째~다섯째 3000만원, 여섯째 3500만원을 일시금과 분할금으로 지원했다. 둘째에 대한 출산지원금을 기준으로 보면, 경기 여주시와 양평군은 최대 500만원이었지만 구리시·남양주시·파주시는 30만원이었다.
지자체가 지원하는 출산장려금은 실제로 출산율을 높이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그러나 아이를 낳을 가임기 여성 자체가 적은 인구감소지역에서 주로 많은 금액의 출산장려금을 주고 있기 때문에, 국가 전체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다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진경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은 2019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구감소지역은 출산지원금 정책으로 인접 지역의 인구를 유입하는 경쟁이 벌어져 비효율성을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박 실장은 “가임기 여성이 주로 수도권과 대도시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대도시, 특히 수도권의 초저출산율을 높여야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했다.
장인수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논문에서 지자체의 출산지원금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 별로 다르다고 분석했다. 장 부연구위원은 올해 4월 보고서에서 “지자체 주도로 이뤄지는 출산지원금 사업은 지역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도 비효율적”이라며 “인구감소지역은 (출산장려금을)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할 개연성이 더 커서, 지역의 재정 여건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