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자료 vs 자료 지참' 핑퐁게임 속 협상 파행..피로도 가중 비판도
2월3일 4자 TV토론으로 직행 전망..양측 모두 공식결렬 선언 안해 '양자' 여지도
안철수·심상정, 철야농성.."편법 담합토론" "제2 위성정당 사태"
양강 대선 후보의 첫 대면 승부로 기대를 모았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간 양자 토론 실무협상이 토론 예정일을 하루 앞둔 30일 사실상 결렬됐다.
이에 따라 극적인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31일 토론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 중 한 사람이라도 막판 '결단'을 하지 않는 이상, 설 밥상머리에 양자토론이 올라가는 일은 불발되는 셈이다.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로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초당적으로 머리를 맞대야 할 여야가 룰을 놓고 네 탓 공방만 연출하면서 국민 피로도만 가중한다는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박주민,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을 각각 단장으로 하는 협상팀은 이날 오전과 오후 2차례 실무협상을 하고 토론 방식을 협의했으나 합의하지 못했다.
양측은 지난 28일 오후 양자 토론 일정을 극적으로 합의한 뒤 사흘째 실무협상을 이어갔으나, 마주 앉을 때마다 계속 새로운 갈등과 맞닥뜨렸다.
이날 오전 11시 시작한 협상에서 민주당은 ▲ 민생 경제 ▲ 외교 안보 ▲ 도덕성 검증을 주제로 토론하자고 제안했지만, 국민의힘은 주제 제한 없이 자유 토론을 하자고 요구하면서 협의는 중단됐다.
이 후보가 오후 협상 직전 페이스북에 "원하는 대로 주제 없이, 자료 없이 토론하자"며 한발 물러섰으나, 국민의힘이 '대장동 개발 특혜 개발 의혹' 관련 자료는 지참해야 한다고 고수하고 민주당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협상은 다시 공전했다.
민주당은 "윤 후보는 커닝 없이는 토론을 못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들은 수첩 대통령을 바라지 않는다"며 국민의힘이 '커닝 토론'을 하려 한다고 몰아붙였다.
국민의힘도 "범죄혐의 자료를 왜 지참 못 하느냐. 대장동 관련 질문을 했을 때 이 후보가 교묘한 말솜씨와 괴변으로 일관할 경우 자료나 증거 없이 반박할 수 있겠느냐"면서 민주당이 대장동 토론을 피하기 위해 억지를 부린다고 반격했다.
국민의힘은 이와 별도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두 후보의 양자 토론을 방송 중계할 수 없다고 유권 해석한 데 대해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한 선거 개입"이라고 규탄하는 기자회견도 열었다.
양측간 신경전에는 특수통 검사 출신답게 '피의자 신문조서'를 받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며 이 후보의 대장동 의혹을 집요하게 파헤치겠다는 윤 후보측과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국정 전반에 대한 검증공세로 역량 면에서 우위를 부각하겠다는 이 후보측간 엇갈리는 셈법이 깔려 있다. 양측이 이날 밤까지도 극한 대치를 이어가면서 설 연휴 민심의 검증대 격으로 추진돼왔던 두 후보 간 양자 토론 자체가 불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양자간 토론 없이 설 연휴 직후인 내달 3일 국민의당 안철수,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참여하는 첫 4자 TV 토론으로 '직행'하게 될 전망이지만, 신경전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상황에도 정치적 유불리 셈법에만 매몰돼 있다는 비판적 시선을 의식한 듯 서로 책임을 미뤘다. 협상 결렬을 먼저 선언하는 것도 꺼리는 모습이었다.
이날 밤 12시를 시한으로 제시했던 국민의힘은 밤 10시께 입장문에서 민주당 경선 당시 이 후보가 자료를 갖고 토론한 사진을 공개하며 "회담 재개를 기대하며 의원회관에 대기 중"이라고 압박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민의힘이 변화된 입장을 갖고 오는 것이 먼저"라고 주장했다.
다만 양측이 협상 결렬을 공식 선언하지 않음에 따라 31일 오전까지 협상이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양자 토론이 막판에 극적으로 성사되더라도 법원의 양자 TV토론 방송금지 가처분 결정에 이은 선관위의 유권해석으로 공중파 중계 없이 유튜브 채널로 유권자들에게 전달되는 '유튜브 토론' 형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양자 토론에 반발해 이날 오후 늦게부터 국회에서 철야 농성에 돌입하는 등 어수선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안 후보는 양자 토론을 "두 기득권 정당 후보들의 편법·부당한 양자 담합 토론"이라고 규정했고, 심 후보도 양자 토론을 "제2 위성정당 사태"로 비판하면서 별도의 철야 농성에 나섰다.
이에 따라 극적인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31일 토론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 중 한 사람이라도 막판 '결단'을 하지 않는 이상, 설 밥상머리에 양자토론이 올라가는 일은 불발되는 셈이다.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로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초당적으로 머리를 맞대야 할 여야가 룰을 놓고 네 탓 공방만 연출하면서 국민 피로도만 가중한다는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박주민,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을 각각 단장으로 하는 협상팀은 이날 오전과 오후 2차례 실무협상을 하고 토론 방식을 협의했으나 합의하지 못했다.
양측은 지난 28일 오후 양자 토론 일정을 극적으로 합의한 뒤 사흘째 실무협상을 이어갔으나, 마주 앉을 때마다 계속 새로운 갈등과 맞닥뜨렸다.
이날 오전 11시 시작한 협상에서 민주당은 ▲ 민생 경제 ▲ 외교 안보 ▲ 도덕성 검증을 주제로 토론하자고 제안했지만, 국민의힘은 주제 제한 없이 자유 토론을 하자고 요구하면서 협의는 중단됐다.
이 후보가 오후 협상 직전 페이스북에 "원하는 대로 주제 없이, 자료 없이 토론하자"며 한발 물러섰으나, 국민의힘이 '대장동 개발 특혜 개발 의혹' 관련 자료는 지참해야 한다고 고수하고 민주당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협상은 다시 공전했다.
민주당은 "윤 후보는 커닝 없이는 토론을 못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들은 수첩 대통령을 바라지 않는다"며 국민의힘이 '커닝 토론'을 하려 한다고 몰아붙였다.
국민의힘도 "범죄혐의 자료를 왜 지참 못 하느냐. 대장동 관련 질문을 했을 때 이 후보가 교묘한 말솜씨와 괴변으로 일관할 경우 자료나 증거 없이 반박할 수 있겠느냐"면서 민주당이 대장동 토론을 피하기 위해 억지를 부린다고 반격했다.
국민의힘은 이와 별도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두 후보의 양자 토론을 방송 중계할 수 없다고 유권 해석한 데 대해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한 선거 개입"이라고 규탄하는 기자회견도 열었다.
양측간 신경전에는 특수통 검사 출신답게 '피의자 신문조서'를 받는 듯한 모습을 연출하며 이 후보의 대장동 의혹을 집요하게 파헤치겠다는 윤 후보측과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국정 전반에 대한 검증공세로 역량 면에서 우위를 부각하겠다는 이 후보측간 엇갈리는 셈법이 깔려 있다. 양측이 이날 밤까지도 극한 대치를 이어가면서 설 연휴 민심의 검증대 격으로 추진돼왔던 두 후보 간 양자 토론 자체가 불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양자간 토론 없이 설 연휴 직후인 내달 3일 국민의당 안철수,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참여하는 첫 4자 TV 토론으로 '직행'하게 될 전망이지만, 신경전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상황에도 정치적 유불리 셈법에만 매몰돼 있다는 비판적 시선을 의식한 듯 서로 책임을 미뤘다. 협상 결렬을 먼저 선언하는 것도 꺼리는 모습이었다.
이날 밤 12시를 시한으로 제시했던 국민의힘은 밤 10시께 입장문에서 민주당 경선 당시 이 후보가 자료를 갖고 토론한 사진을 공개하며 "회담 재개를 기대하며 의원회관에 대기 중"이라고 압박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민의힘이 변화된 입장을 갖고 오는 것이 먼저"라고 주장했다.
다만 양측이 협상 결렬을 공식 선언하지 않음에 따라 31일 오전까지 협상이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있다.
양자 토론이 막판에 극적으로 성사되더라도 법원의 양자 TV토론 방송금지 가처분 결정에 이은 선관위의 유권해석으로 공중파 중계 없이 유튜브 채널로 유권자들에게 전달되는 '유튜브 토론' 형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양자 토론에 반발해 이날 오후 늦게부터 국회에서 철야 농성에 돌입하는 등 어수선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안 후보는 양자 토론을 "두 기득권 정당 후보들의 편법·부당한 양자 담합 토론"이라고 규정했고, 심 후보도 양자 토론을 "제2 위성정당 사태"로 비판하면서 별도의 철야 농성에 나섰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세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