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글로벌 선도기지로 구축 목표
전문·현장인력 연간 1100명 이상 양성
문재인 대통령이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배터리 시장의 선점을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주문했다. 민간기업은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해 배터리 시장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역시 각종 세제 혜택으로 우리 기업들의 배터리 기술확보를 위한 지원사격에 나선다.
정부는 8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LG에너지솔루션 공장에서 문 대통령을 비롯한 관련부처 장관과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최근 배터리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며 성장 중이다. 소형 배터리는 10년째 1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중대형 배터리도 경쟁국과 1~2위를 다투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다만, 배터리 시장의 글로벌 경쟁이 점차 격화하는 상황에서 주요국들은 배터리 제조기반 구축 및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앞으로의 5년이 이차전지 시장에서 각국의 위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 배터리 총력전에 돌입하기 위해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는 종합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우선 전지 3사와 소·부·장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도 연구개발(R&D)·세제·금융 등을 적극 지원해 보조를 맞춘다. 최종 목표는 대한민국을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와 제조기지,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기지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번 전략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됐으며 △기술개발 △생태계·공급망 조성 △수요시장 창출 등이 핵심 내용이다.
우선, 기술개발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에 집중한다. 전고체·리튬황·리튬금속 등 차세대 이차전지를 적어도 2028년 전까지 모두 상용화 단계에 돌입시키는 게 목표다. 또 전극소재, 고체 전해질 등 차세대 이차전지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파크 구축을 통해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둘째로,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이차전지 분야에서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해외 원재료 확보와 함께 국내 재활용 소재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민간의 해외 소재광물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자원보유국과의 협력 채널도 강화한다.
이차전지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늘린다.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800억원 규모의 혁신펀드 조성과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간 1100명 이상 규모의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마지막으로,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수요시장 창출을 꾀한다. 사용 후 이차전지의 회수부터 제품화까지 전 과정 산업을 육성하고, 드론·선박·기계·공공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이차전지의 신규 적용이 가능한 민간·공공시장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 이차전지를 활용한 대여·교체 서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날 수 있도록 신산업의 발굴과 육성도 추진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반도체가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라면 배터리는 제품을 구동시키는 심장과 같다"며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기업과 대학, 정부와 지자체, 국회까지 모두의 역량을 결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는 8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LG에너지솔루션 공장에서 문 대통령을 비롯한 관련부처 장관과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최근 배터리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며 성장 중이다. 소형 배터리는 10년째 1위를 수성하고 있으며, 중대형 배터리도 경쟁국과 1~2위를 다투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다만, 배터리 시장의 글로벌 경쟁이 점차 격화하는 상황에서 주요국들은 배터리 제조기반 구축 및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앞으로의 5년이 이차전지 시장에서 각국의 위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 배터리 총력전에 돌입하기 위해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는 종합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우선 전지 3사와 소·부·장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도 연구개발(R&D)·세제·금융 등을 적극 지원해 보조를 맞춘다. 최종 목표는 대한민국을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와 제조기지,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기지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번 전략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됐으며 △기술개발 △생태계·공급망 조성 △수요시장 창출 등이 핵심 내용이다.
우선, 기술개발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에 집중한다. 전고체·리튬황·리튬금속 등 차세대 이차전지를 적어도 2028년 전까지 모두 상용화 단계에 돌입시키는 게 목표다. 또 전극소재, 고체 전해질 등 차세대 이차전지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파크 구축을 통해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둘째로,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이차전지 분야에서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해외 원재료 확보와 함께 국내 재활용 소재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민간의 해외 소재광물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자원보유국과의 협력 채널도 강화한다.
이차전지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기술력 확보를 위한 지원도 늘린다.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800억원 규모의 혁신펀드 조성과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간 1100명 이상 규모의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마지막으로,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수요시장 창출을 꾀한다. 사용 후 이차전지의 회수부터 제품화까지 전 과정 산업을 육성하고, 드론·선박·기계·공공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이차전지의 신규 적용이 가능한 민간·공공시장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 이차전지를 활용한 대여·교체 서비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날 수 있도록 신산업의 발굴과 육성도 추진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반도체가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라면 배터리는 제품을 구동시키는 심장과 같다"며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기업과 대학, 정부와 지자체, 국회까지 모두의 역량을 결집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