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등 中 민감 사안 공동성명 담길 듯..회담 앞서 '경고' 메시지
공급망 재편 나선 미국, 한국 '핵심 파트너'로..'원칙' 외교 필요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견제하는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이 발표될 것으로 관측되면서 중국 정부의 반발이 예상된다. 초청국인 우리나라는 공동성명에는 참여하지는 않지만 러시아와 중국에 대응해 주요국간 공동 전선을 구축하자는 성격의 이번 회담에 초청된 만큼 '양자택일'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현지시간)까지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발표하는 공동성명에는 Δ대만해협 Δ홍콩상황·신장지역 인권문제 등 중국을 자극할 문제 등이 명시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영국·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이 회원국인 이번 회담에 우리나라는 인도·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이번 회담에 초청국으로 참석했다. 초청국은 공동성명에는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이 이와 관련해 직접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우리나라가 미국 중심의 '반중 동맹'에 참여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분위기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9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제안한 인도·태평양 전략은 냉전사고로 집단 대결을 야기해 지역 평화 안정과 발전에 이롭지 않다"며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G7 정상회담에 앞서 우리나라에 사전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격이다.
초청국으로 참석하는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에 Δ보건 Δ열린사회와 경제 Δ기후변화 환경을 주제로 한 회의에 참석한다. '열린사회와 경제' 분야에서는 공동성명에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 '대만 해협의 중요성', '일대일로'를 앞세운 중국의 군사 거점 확대 문제 등 등 중국의 반발이 예상되는 주제들이 다뤄진다.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G7 회원국과 협력관계를 이어나 갈 수 있도록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이유다.
앞서 미국은 이달 9일 중국 등을 겨냥해 반도체, 배터리 등 핵심품목의 자국 생산 역량을 높이는 계획을 담은 '100일 보고서'에 '삼성전자'를 27번이나 언급하면서 우리나라를 '핵심 파트너'로 점찍은 바 있다.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미국도 이번 G7정상회담에서 중국과 관련한 사안에 '입장'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반도체, 배터리 등 안보를 좌우할 핵심산업과 관련한 양국 협력 관계가 진전될 수록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압박 수위도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원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대중국 정책과 관련)우리가 기본 원칙을 밝히고 사안별로 뜻을 같이하는 국가와 공동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며 "모든 사안에 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외부의 오해를 낳을 여지가 있기 때문에 원칙에 입각한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13일(현지시간)까지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발표하는 공동성명에는 Δ대만해협 Δ홍콩상황·신장지역 인권문제 등 중국을 자극할 문제 등이 명시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영국·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이 회원국인 이번 회담에 우리나라는 인도·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이번 회담에 초청국으로 참석했다. 초청국은 공동성명에는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이 이와 관련해 직접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우리나라가 미국 중심의 '반중 동맹'에 참여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분위기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9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제안한 인도·태평양 전략은 냉전사고로 집단 대결을 야기해 지역 평화 안정과 발전에 이롭지 않다"며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G7 정상회담에 앞서 우리나라에 사전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격이다.
초청국으로 참석하는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에 Δ보건 Δ열린사회와 경제 Δ기후변화 환경을 주제로 한 회의에 참석한다. '열린사회와 경제' 분야에서는 공동성명에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 '대만 해협의 중요성', '일대일로'를 앞세운 중국의 군사 거점 확대 문제 등 등 중국의 반발이 예상되는 주제들이 다뤄진다.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G7 회원국과 협력관계를 이어나 갈 수 있도록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이유다.
앞서 미국은 이달 9일 중국 등을 겨냥해 반도체, 배터리 등 핵심품목의 자국 생산 역량을 높이는 계획을 담은 '100일 보고서'에 '삼성전자'를 27번이나 언급하면서 우리나라를 '핵심 파트너'로 점찍은 바 있다.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미국도 이번 G7정상회담에서 중국과 관련한 사안에 '입장'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반도체, 배터리 등 안보를 좌우할 핵심산업과 관련한 양국 협력 관계가 진전될 수록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압박 수위도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원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대중국 정책과 관련)우리가 기본 원칙을 밝히고 사안별로 뜻을 같이하는 국가와 공동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며 "모든 사안에 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외부의 오해를 낳을 여지가 있기 때문에 원칙에 입각한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세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