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도 저기도 '깡통금고'…새마을금고, 결국 터질 게 터졌다

새마을금고 '비상'…431곳 적자 났다

1288곳 경영공시 전수조사
3곳 중 1곳 지난해 순손실
'깜깜이 대출'로 부실 위험

총자산 287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가 휘청이고 있다. 전국 새마을금고 1288곳 가운데 적자에 빠진 금고가 1년 만에 열 배가량 불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중심으로 지난해 말 2조원 넘게 부실 채권을 털어냈지만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금고가 80곳에 달했다.

3일 한국경제신문이 지역 새마을금고 1288곳의 지난해 경영공시를 전수 조사한 결과 연간 당기순손실을 낸 금고는 431곳이었다. 금고 세 곳 중 한 곳이 적자를 냈다는 의미다. ‘적자 금고’ 수는 2022년 45곳에서 1년 만에 열 배 가까이 급증했다.

당장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해 건전성이 악화한 금고도 크게 늘었다.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8% 이상인 금고는 2022년 53곳에서 지난해 212곳으로 네 배 가까이 늘었다. 올 들어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전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작년 말 5.07%에서 지난달 말 7%대까지 올라간 것으로 전해졌다.


새마을금고 각 지점은 사실상 독립된 법인이어서 특정 금고에서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곳으로 전이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십 개 금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부실이 터져 나오면서 ‘깡통 금고’가 쏟아지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의 가장 큰 문제는 이사장 중심의 지배구조에서 비롯된 ‘깜깜이’ 대출”이라며 “부실이 발생해도 대출 만기를 연장하거나 이자를 탕감하는 식으로 억누르는 사례가 많다”고 꼬집었다.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는 오는 8일부터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함께 대형 금고 4곳의 첫 현장검사에 나선다. 금감원은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새마을금고 ‘편법대출’ 의혹과 관련해서도 전날 검사에 들어갔다.


기준 없는 무리한 대출 남발에 느슨한 관리까지 '총체적 부실'


정부 건전성 개선 노력 무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의 뇌관으로 지목되는 새마을금고에 비상벨이 울리고 있다. 지난해 7월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겪은 뒤 정부 차원에서 건전성 개선에 나섰지만 이번에 파악된 개별 금고의 실태는 충격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준 없는 무리한 대출, 느슨한 관리·감독, 허술한 내부 통제, 경영진의 비전문성 등으로 빚어진 총체적 부실로 일부 금고는 ‘깡통 금고’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연체율 두 자릿수 금고만 80곳


지난해 새마을금고 전체 평균 연체율은 5.07%다. 전년 대비 1.48%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3.14%포인트 치솟은 저축은행(6.55%)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으로 보인다. 하지만 개별 금고 실태를 보면 상황은 썩 좋지 않다. 연체율이 15%가 넘는 금고가 13곳이었고 20%가 넘는 금고도 3곳이었다.

연체율이 높은 금고는 대부분 기업 대출 비중이 컸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부동산 관련 대출로 파악됐다. 연체율이 22.27%에 달하는 서울의 A금고는 전체 대출에서 기업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87.56%였다. 이 금고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4.37%로 금융당국 권고치(8% 이하)의 세 배가 넘었다. 연체율이 20.15%인 인천의 B금고는 기업 대출 비중이 65.53%였다. 부실채권 비율(16.98%) 역시 높았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돼 돌려받기 어려운 부실채권이 늘고 있다는 얘기다.

손실흡수능력 관련 지표인 순자본비율이 규제 수준(4%)에 못 미치는 금고도 23곳에 달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