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세계 2500대 R&D 기업 분석
"미래경쟁력 확보 위해 투자환경 개선돼야"
최근 10년간 '기술굴기'를 앞세운 중국의 R&D(연구·개발)기업들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R&D 코리아'의 위상은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일 유럽집행위원회의 2011년 이후 세계 2500대 R&D 기업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한국기업 수는 2014년 80개에서 2019년 56개로 24개나 줄었다고 밝혔다. R&D 금액 비중은 2014년 3.9%에서 2019년 3.6%로 0.3%p 감소했다.
이에 비해 중국은 지난 2015년 5월 '중국제조 2025' 국가전략 수립 후 기술굴기를 앞세우며 R&D 기업 수는 2011년 56개에서 2019년 536개로 480개 증가했다. R&D 투자액은 연평균 30.8% 증가하며 2019년엔 사상 처음 일본을 추월, 세계 2위 R&D 투자국이 됐다.
전경련은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반도체 굴기'를 비롯한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자금지원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14년~2018년 세계 21개 글로벌 반도체 기업 중 매출액 대비 정부 지원금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5개 기업 중 3개가 중국 기업이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R&D 코리아의 위상 약화 원인으로는 한국기업의 R&D 투자가 반도체 등 ICT 품목에 편중되고, 특정기업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봤다. 2019년 세계 2500대 R&D 기업에 진입한 한‧중‧일 기업 중, 한국의 경우 ICT 제품의 비중이 58.9%에 달했다.
신성장분야에 대한 R&D 투자 비중이 낮은 것도 문제다. ICT서비스, 헬스케어 등 2대 신성장분야에 대한 R&D 투자 비중의 경우 중국과 일본이 2019년 기준으로 각각 23%, 17%에 달했다. 반면 한국은 4%에 불과했다.
2019년 기준 한‧미‧일‧중 4개국의 R&D 투자금액 1위 기업이 자국 기업 전체 R&D 투자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미국(알파벳)이 7.5%, 중국(화웨이 인베스트먼트앤홀딩스)이 16.4%, 일본(토요타자동차)이 7.9%인 반면, 한국(삼성전자)은 47.2%에 달해 한국의 특정기업 R&D 투자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전경련은 신산업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경쟁력 훼손 및 반(反)기업정서를 조장하는 규제도입을 지양하고, R&D 투자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등 기업 R&D 투자환경을 개선해 미래의 주요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 글로벌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세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