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불황 본격 시작…올해 경제성장률 1.5% 전망"

한경연,'KERI 경제동향과 전망' 발표
민간소비 2.4%, 설비투자 -2.5%, 건설투자 -0.5%

▲ 2023년 국내경제전망. [제공=한국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이 1.5%로 전망됐다. 고금리에 따른 내수 위축에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출 부진까지 겹치며 경제불황 국면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3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1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경기둔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국내 성장모멘텀은 부재하다는 판단 아래 기존 1.9%보다 0.4%P 하향한 1.5%로 전망한 것이다. 여기에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소비 및 투자위축으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고, 코로나19를 거치며 더욱 심화된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 여력 약화의 영향으로 1%대 후반의 성장마저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 연준이 급진적 긴축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로 파급되어 불확실성이 증폭하게 될 경우에 성장률의 감소 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며 "오랜 기간 경제 여건 부실화가 진행된데다 코로나19 기간의 과도한 재정지출로 정책적 지원 여력마저 떨어져 성장률 하향 전망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4% 성장하며, 미흡한 수준의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4%보다 2.0%P 낮은 수치다. 그동안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 감소 및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부진 흐름을 주도하는 가운데, 자영업자 소득감소, 금리 인상으로 폭증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큰 폭으로 위축하게 될 것이라는 평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에 대한 공격적 투자 지속에도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른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비용부담까지 가중돼 -2.5 % 역(逆)성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공공재개발 등 정부 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공사 현장의 차질과 불협화음이 지속되면서 -0.5%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반기를 경과하며 점차 안정을 되찾고 강달러 현상 역시 완화하게 됨에 따라 2022년보다 1.7%P 가까이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동안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던 실질 수출도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 및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 부진에 따른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1.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2022년 수출 성장률 3.1%보다 1.9%P 낮은 수치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최대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위축 폭이 예상보다 커지거나 반도체 이외의 주력 수출 품목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수출증가세가 더욱 약화하게 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상수지는 상품수지가 저조한 실적을 보이는 가운데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145억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