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대초 ‘젊은 노인’ 형편 넉넉해졌지만 85세 이상 빈곤율은 높아져

국민연금연구원 “85세 이상 빈곤율 10년 새 48.2%에서 54.3%로 증가”

▲ 설 명절 연휴를 이틀 앞둔 19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인근 무료급식소에서 점심 배식을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뉴시스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30%대로 떨어졌지만 8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만 따졌을 때는 빈곤율이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의 ‘노인빈곤 실태 및 원인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빈곤율은 2011년 49.18%에서 점차 낮아져 2020년에는 38.97%를 기록했다. 빈곤갭(차이)도 같은 기간 21.06%에서 12.48%로 줄었다. 상대적으로 노동 활동이 활발한 세대가 노인 인구에 편입되고 기초연금이 인상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노인빈곤율은 노인 인구 중 중위소득의 50%(상대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이다. 하위소득계층의 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빈곤갭은 커진다.


연령대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65∼74세의 초기 노인 연령대의 빈곤율은 44.59%에서 29.43%로 15.15%포인트 낮아졌다. 이 연령대의 빈곤갭도 17.84%에서 8.45%로 줄었다. 75∼84세의 빈곤율도 58.23%에서 50.34%로 7.90%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85세 이상에서는 빈곤율이 48.23%에서 54.31%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 연령대에서 빈곤율이 증가한 것은 빈곤선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가처분 소득 수준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빈곤선이 더 빠른 속도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노동소득이 노인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노동소득의 감소 혹은 증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며 "노인 가운데서도 연령대별로 빈곤율과 소득수준 격차가 커지고 있는데, 베이비부머(1965∼1974년생)가 노인에 진입하면서 노인집단의 이질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 세대에 진입해서도 노동소득의 큰 감소가 없다면 연소노인(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낮은 노인)의 빈곤율 감소가 전체 노인의 빈곤율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