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들이 취급 중인 담보 대출량을 큰 폭으로 늘려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대출채권 관련 연체 우려가 커진 탓이다. 담보 대출의 경우, 부실화 시에도 회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단 장점이 있다. 금융사 입장에선 그만큼 감당해야 할 위험부담이 낮다는 뜻이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말 담보 대출 총합산 잔액은 46조4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37조6862억원)보다 22%가량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대형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증가 폭은 28%로 이를 웃돌았다.
분기별 증가액은 코로나 관련 영향이 본격화된 이후로 급증했다. 작년 2분기엔 1조1500억원 수준에 그친 반면 3분기 2조3100억원, 4분기 2조6200억원, 올 1분기 2조2200억원으로 2배 이상 불었다.
이는 건전성 관리 측면의 행보로 풀이된다. 담보 대출의 경우, 일반 신용 대출에 비해 부실 발생 시 감당해야 할 부담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건전성 방어가 절실한 저축은행 입장에선 적절히 활용할 만한 안전장치다. 다만 부동산 등 담보 가치의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은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기업 대출량이 폭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기업 대출의 경우, 통상 신용과 담보가 모두 확보됐을 때 진행된다. 저축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작년 1분기 38조3464억원에서 올 1분기 45조3868억원으로 18%가 늘었다.
세부적으로 부동산 담보 대출은 작년 1분기 22조9000억에서 올 1분기 27조3000억으로 19.2%가 늘었다. 기타(설비기계, 자동차 등) 담보도 14조6000억서 18조6000억으로 27%가 늘었다. 예적금 담보의 경우 1411억원서 103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통상 부동산 담보는 개인사업자, 기타 담보는 중소기업이 주로 활용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담보 대출의 경우) 시중 은행에서 개인 자격으로 대출을 받고, 저축은행에서 사업자 자격으로 추가로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시중은행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 효과로 관련 대출이 급팽창했다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의 증가폭이 시중은행에 비해 현저히 높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담보 대출 증가폭은 5% 수준에 그쳤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시중은행들이 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주로 중기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에 많이 흘러내려 갔다”고 말했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말 담보 대출 총합산 잔액은 46조43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37조6862억원)보다 22%가량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대형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증가 폭은 28%로 이를 웃돌았다.
분기별 증가액은 코로나 관련 영향이 본격화된 이후로 급증했다. 작년 2분기엔 1조1500억원 수준에 그친 반면 3분기 2조3100억원, 4분기 2조6200억원, 올 1분기 2조2200억원으로 2배 이상 불었다.
이는 건전성 관리 측면의 행보로 풀이된다. 담보 대출의 경우, 일반 신용 대출에 비해 부실 발생 시 감당해야 할 부담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건전성 방어가 절실한 저축은행 입장에선 적절히 활용할 만한 안전장치다. 다만 부동산 등 담보 가치의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은 있다.
작년 하반기부터 기업 대출량이 폭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기업 대출의 경우, 통상 신용과 담보가 모두 확보됐을 때 진행된다. 저축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작년 1분기 38조3464억원에서 올 1분기 45조3868억원으로 18%가 늘었다.
세부적으로 부동산 담보 대출은 작년 1분기 22조9000억에서 올 1분기 27조3000억으로 19.2%가 늘었다. 기타(설비기계, 자동차 등) 담보도 14조6000억서 18조6000억으로 27%가 늘었다. 예적금 담보의 경우 1411억원서 103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통상 부동산 담보는 개인사업자, 기타 담보는 중소기업이 주로 활용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담보 대출의 경우) 시중 은행에서 개인 자격으로 대출을 받고, 저축은행에서 사업자 자격으로 추가로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시중은행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 효과로 관련 대출이 급팽창했다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의 증가폭이 시중은행에 비해 현저히 높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담보 대출 증가폭은 5% 수준에 그쳤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시중은행들이 대출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주로 중기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에 많이 흘러내려 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