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시그널에 채권금리도 ‘들썩’

10년물 국고채 0.047%p 오른 연 2.179%…단기물도 올라
한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 시사 여파…민간부채 관리 적신호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자, 가장 먼저 채권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이는 결국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민간부채’ 관리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이로 인해 이자 비용이 크게 늘면 경제 전체에 충격으로 번질 우려가 있다. 당분간 글로벌 채권시장은 상승세를 지속할 확률이 높아, 좀 더 고차원적인 대응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3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47% 포인트 오른 연 2.179%에 거래됐다. 연중 최저치(1.691%)와 비교했을 때, 0.488% 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단기물 금리도 일제히 뛰었다.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0.066% 포인트 오른 연 1.739%로 마감했다. 이 역시도 최저치(1.281%)보다 0.458% 포인트 높다. 3년 만기 금리는 0.065% 포인트 오른 연 1.227%로 지난 3월 후 가장 높았다.

여기엔 한은이 올 들어 처음으로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신호를 보낸 게 영향을 미쳤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7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그간 내내 ‘완화적 정책’ 유지 입장을 고수해왔던 것과 대비되는 행보다.

문제는 채권금리 상승이 ‘빚 폭탄’의 뇌관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채권금리는 대출금리에 영향을 주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채권금리가 오르면, 금융채가 뛰고 결국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일례로 국고채 3년물 금리의 경우, 시중 금리의 바로미터 격으로 활용된다. 현재 3년 국채 금리는 기준금리(연 0.5%)보다 0.7% 포인트가량 높게 형성됐는데, 향후 2~3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선반영한 셈이다.

국채 5년물 금리는 금융채 5년물과 함께 연동된다. 이후 국내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혼합형(5년 고정금리+변동금리) 금리를 좌우한다.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로 넘어가는 시점의 기준으로 활용된다.

이로 인해 가계 빚 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가계신용 잔액은 약 1765조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 중 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기타대출)만 봐도 1666조원에 이른다. 여기서 72%를 변동금리 대출이라고 가정했을 때, 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가계대출 이자는 11조8000억원가량 증가하는 구조다. 만약 9월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유예 종료 등이 더해질 경우, 대규모 부실이 일시에 일어날 수도 있는 셈이다.

글로벌 주요 투자기관들은 한은의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JP모건은 한은이 올 4분기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시기는 11월이 유력하다고 봤다. 이후 두 번째 금리 인상은 기존에 예상한 내년 3분기에서 4분기로 늦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