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에 더 가혹한 코로나 경제 쇼크

1분위 소득감소율 17%.. 5분위는 1.5%
고대면 일자리 실직·소득감소 직격탄
팬데믹 이후에 빈부격차 고착화 우려

코로나19가 몰고 온 경제 충격 탓에 모든 계층의 소득이 줄었지만, 저소득층의 감소 폭이 가장 심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병이 우리 사회의 소득 불평등를 더 심화시켰다는 얘기다. 특히 임시 일용직이나 재택근무를 하기 어려운 고(高)대면 일자리로 생계를 유지하던 이들이 실직과 소득 감소의 직격탄을 맞았다.


이들은 재난지원금 등으로 버티고 있지만 벌어진 소득 차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4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분기 평균 소득 감소율(전년 동기 대비)은 17.1%로 ▲2분위 5.6% ▲3분위 3.3% ▲4분위 2.7% ▲5분위 1.5%를 크게 웃돌았다.


한은은 가계동향조사 미시자료상 전국의 2인 이상 비농림어업가구 중 1만 2138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 소득에서 재난지원금 등 사회수혜금과 생활비 보조 등 사적 이전소득은 뺐다. 코로나19가 소득에 미친 영향을 온전히 보기 위해서다.

중산층·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소득이 급감하면서 하위 10% 가구 소득 대비 중위 소득의 배율은 2019년 2∼4분기 평균 5.1배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5.9배까지 뛰었다.


국내 가구를 소득 순으로 1등부터 100등까지 순위를 매겼을 때 10등과 50등의 격차가 5.9배로 벌어졌다는 뜻이다.

한은은 소득 1분위 가구의 소득 감소의 원인을 고용과 소득 요인으로 나눠 봤다. 그 결과 실업 등 고용충격 여파가 36.2%, 취업자의 소득 수준 저하 충격이 63.8%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해 2∼4분기 당시 소득 1분위에서 비취업 가구의 비중은 한 해 전 같은 기간보다 8.7% 포인트나 커졌다.


직장을 잃지 않았더라도 소득 감소의 충격을 피하기는 어려웠다. 같은 기간 1분위 취업 가구의 소득 감소율은 15.6%로 2∼4분위(3.3%)보다 월등히 높았다. 한은은 “자영업의 추가적 고용 조정, 자녀를 둔 여성 가구의 경력 단절 등은 앞으로 소득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만큼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세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