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집단면역? 불가능…토착화될 것"

"백신 접종 전략, 피해 최소화로 수정해야"
"인구 70%가 백신 접종해도 집단면역 달성은 어려울 것"

▲ 오명돈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왼쪽)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코로나19 중앙 예방접종센터 G동에서 열린 국립중앙의료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1월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이어가는 가운데, 집단면역 달성 가능성에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화되고,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이 백신을 주기적으로 접종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집단면역 가능성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백신 수급 불안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3일 당초 계획보다 대상자를 확대한 '5∼6월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상반기에 기존 목표보다 100만명 늘린 '1300만명'의 예방접종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으며 백신 수급을 둘러싼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모양새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은 3일 오전 국립중앙의료원 미 공병단 신축부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백신 접종률 70%에 도달한다고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거리두기가 종료되는 일은 저절로 오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오는 11월까지 전 국민의 7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해 면역력을 확보하면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백신 접종에 집중하고 있다.

오 위원장은 집단면역이 어려운 이유로 현재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이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2차 감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보다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타인에게 전파하는 2차 감염을 95% 이상 예방하는 백신도 아직 없다"며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효과가 95%라는 건 (접종자의)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타인에)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또한 면역반응의 지속 기간을 알 수 없다는 점도 집단면역이 어려운 요인 중 하나로 봤다. 현재까지 공개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면역반응은 약 6개월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코로나19 종식이나 집단면역 달성이 어렵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다.

오 위원장은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맞으며 코로나19와 함께 살아야 한다"며 "국가의 백신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에서 피해 최소화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식이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독감을 근절하자고 모두에게 독감 백신을 맞히지 않듯이 고위험군에만 접종하더라도 중환자 발생이나 사망자를 막는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이날 5~6월 접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고령층 백신 접종 대상을 60~74세로 범위를 더 넓히기로 했다. 이에 따라 65~74세에 해당하는 약 895만명은 이달 27일부터, 60~64세 400만여명은 다음달 7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는다. 또한 사회 필수 인력과 군 장병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서 제외된 3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백신 부족 우려에 대해, 다음달 첫째 주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723만회분이 순차 도입될 예정이라며 백신 접종을 차질 없이 진행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지금처럼 시기별 백신 도입 물량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상반기 1200만명 접종 목표를 1300만명으로 상향할 수 있을 것이라는 보고도 받았다"며 "11월 집단면역 달성 목표도 계획보다 앞당길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차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