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차 확산 거리두기 영향으로 1월 취업자수 98만2000명 하락

1월 취업자수는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강화된 방역조치 지속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대비 98만 2000명 감소하며 전월 보다 감소폭을 확대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1년 1월 고용동향 분석에 따르면 취업자는 2581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OECD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64.3%로 전년동월대비 2.4%p 하락했고, 청년층 고용률은 41.1%로 전년동월대비 2.9%p 하락했다. 경제활동 참가율도 60.9%로 전년동월대비 1.7%p 하락했다.

실업률은 5.7%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했고, 청년층 실업률은 9.5%로 전년동월대비 1.8%p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고용률 감소폭이 확대된 반면 제조업 감소폭은 축소되고, 건설업은 감소로 전환했다.

서비스업은 강화된 방역조치 지속 등으로 인해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 대면 서비스업 중심으로 감소폭을 확대했다.

서비스업 취업자는 전년대비 89만 8000명 줄었고 그중 숙박·음식업에서 36만 7000명, 도소매업에서 21만 8000명 각각 감소했다.

연말·연초 재정일자리의 종료·재개 시차 등 영향으로 관련 일자리 비중이 높은 공공행정업의 증가세가 둔화됐고 보건복지업이 감소로 전환됐다.

공공행정 취업자는 전년대비 9만 1000명 증가했던 12월에 비해 전년대비 2만명 증가에 그쳐 증가세가 꺾였고 보건복지 취업자는 전년대비 7만 4000명 줄었다.

수출 회복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는 완화돼 전년대비 11만명 감소했던 12월에 비해 4만 6000명 감소에 그쳤다.

건설업은 폭설, 한파 등 영향으로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만에 감소 전환해 전년대비 2만명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일용직 근로자,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감소폭은 확대되는 한편, 상용직 근로자 증가폭은 소폭 확대됐다.

연령별로는 재정일자리 등 영향으로 60세 이상 취업자가 감소 전환되며,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실업자는 157만명으로 증가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취업자 감소폭 확대 등 영향으로 전년대비 41만 7000명이 늘어나며 증가폭을 확대했고 실업률도 5.7%로 전년대비 1.6%p 상승했다.

1월 일시휴직자는 89만 2000명으로 전년대비 34만 6000명 늘어 12월 43만 8000명 보다는 증가폭이 축소됐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청년인구 감소, 숙박음식업 등 청년고용 비중 높은 업종이 둔화되면서 신규채용 위축 등으로 전년대비 31만 4000명 줄며 감소세가 지속됐다.

취업자 감소 영향으로 청년층 고용률은 하락(-2.9%p)하고, 실업률(+1.8%p), 확장실업률(+5.8%p)은 상승했다.

기재부와 고용노동부는 1월 취업자 감소폭 확대가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강화된 방역조치가 지속된 것이 주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취업자 감소 중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 감소(-89만 8000명)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수출 등 경제지표 개선으로 제조업 고용 감소폭이 축소됐으나 고용의 경기 후행성으로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가운데 폭설·강추위 등 계절적 요인, 연말·연초 재정일자리 사업 종료·재개 과정에서의 마찰적 감소 요인과 지난해 1월 고용 호조(+56만 8000명)에 따른 기저효과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다.

정부는 고용시장의 심각성에 대한 엄중한 인식을 바탕으로 민생 어려움 경감 및 일자리 회복을 위해 총력 대응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1분기 중 90만+α개의 직접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강화와 함께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속 지원 등 취업 취약계층 생계안전망을 강화한다. 규제혁신, 한국판 뉴딜 등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강화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아울러, 1분기 중으로 예고된 청년·여성 일자리 대책 등 마련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일한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영 기자 다른기사보기